티스토리 뷰

큰 물

부천 플레이아쿠아리움

계단말이 2019. 11. 14. 22:39

부천 웅진플에이 시티 내 플에이아쿠아리움 

서울권에는 63아쿠아프랄넷, 코엑스아쿠아리움, 롯데아쿠아리움 이렇게 세곳이 있지만 서울을 벗어나면 일산 아쿠아플라넷 뿐이었습니다. 작은 규모까지 고려하면 과천 과학관 생태관, 양평 경기도 민물고기 생태학습관 등이 있고 부천 생태관이 있습니다. 따라 포스팅하겠지만 부천생태관의 경우 구리시의 곤충관 정도의 작은 규모의 수생태관이 식물원 등에 끼여 있습니다. 

그러던 중 작년(2018년) 9월 아쿠아리움 이름을 단 시설이 부천에 들어왔습니다. 6600제곱미터 2000톤 규모면 코엑스아쿠아리움보다는 작고 63아쿠아플라넷보다는 큰, 대구아쿠아리움과 비슷한 규모의 번듯한 아쿠아리움이 인천권역에 들어온 거죠. 

부천 아쿠아리움은 여러 아쿠아리움과 마찬가지로 단일시설로 있지는 않습니다. 웅진 플레이시티라는 복합레져시설 내에 함께 하고 있습니다. 수영장, 볼링장, 골프장 등이 이 건물에 있습니다. 운동하다가 쉬면서 구경하라는 의도일까요? 

 

매표를 해야 하는 곳에서 풉 했습니다. 
코엑스아쿠아리움의 입구를 그대로 배껴서 저렴하게 만든 모습이거든요. 뭐 그럴수 있죠. 아쿠아리움들 끼리 전시 컨셉을 따라하는 걸 한두번 본것도 아니고 말이죠. 

첫 번째로 보이는 수조는 원통형의 대형 민물수조였습니다. 아쿠아리움의 시작되는 입구인 터널이 가운데 똟여 있습니다. 

 

본격적인 아쿠아리움이 시작되지만 그 전에 넓은 홀이 있고 그 곳에도 물고기는 있습니다. 

한쪽에는 금붕어가 품종별로 전시되어 있습니다. 이벤트 수조인듯 한데 아마 또 바뀌겠죠. 
그리고 보이에 민망한 민물고기 수조가 있습니다. 
민물고기 수조는 3개로 하류, 중류, 상류로 구분되어 있는데 
이건 왜 있는지 모르겠네요. 
나름의 한국물고기를 전시한답시고 끼워넣었다기에는 수조가 너무 컸고 전시물은 허접했습니다. 웬만한 지방의 소규모 생태관도 이것보다는 낫습니다. 
짐작하기로는 아마 어종이 바뀌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이걸 왜 했는지.... 그냥하지를 말던가 할거면 조금이라도 신경을 쓰던가 
그리고 대충 생각없이 했다고 하기에는 이곳은 아쿠아리움이 시작되는 곳이고 다른 곳과 다르게 여기서 끝나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런 전시라뇨! 대충이 아니라 심하게 생각이 없는건지도 모르겠네요. 

터널을 지나면 담수 대형어 수조가 보입니다. 아로와나만 빼면 이미 원통형 터널수조에 다 있습니다. 

담수 열대어 수조들입니다. 
프론토샤 수조, 가오리 수조, 동남아 대형열대어, 레인보우 피쉬 수조 등이 있네요. 그나마 콩고테트라 수조가 젤 낫네요. 젤 작기도 했고요. 

수달도 있고 피라냐도 있고 

 

웰치 메기 입니다. 
아마 이걸 국내에 전시한 곳은 여기 뿐인것 같네요. 
크기가 아주 커야 볼만할것 같습니다. 알비노 같네요. 

담수어들이 빠르게 끝나고 수생 파충류들이 나옵니다. 주로 거북이 종류들이네요. 
알비노 자라, 뱀목거북이, 마타마타, 늑대거북, 악어거북 등이 있네요. 카이만과 종류를 잘 모르는 악어종류가 하나 더 있었습니다. 수질상태가.... 

해수 코너의 시작은 샌드타이거 샤크입니다. 얘도 이렇게 있으니까 되게 불품없네요. 

약 1m 큐브 수조들 코너입니다. 
괜찮은 전시 형태라고 생각합니다. 
담수어도 있고 해수어도 있습니다. 
카쇼르가 인상적이네요. 

근데 이걸 어디서 봤었습니다. 
대전 아쿠아리움에서요. 
그리고 검색을 해보니 
같은 회사네요. 
수질 상태도 전시수조의 높이와 전시 형태도 대략 비슷하네요. 
네 이제 좀 알거 같습니다. 

ㅎㅎ 이것도 어디서 봤죠. 
대구 아쿠아리움에서 했던 전시 형태네요. 원통형의 수조에 led색조명을 쏘고 사방에 거울을 배치해서 넓은 공간에 열주처럼 해파리를 전시. 이건 뭐 따라해도 괜찮습니다. 아쿠아리움이 떠나서 보면 이런 전시는 오래전에 시작했을 테니까요. 근데 이것도 뭔가 어설픕니다. 

기본적인 해수수조. 
담수수조보다는 깨끗했습니다. 

'큰 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롯데 아쿠아리움  (0) 2020.07.17
제주 아쿠아플라넷  (0) 2019.07.14
물고기를 좋아하는 아이  (0) 2016.08.06
부산 국립수산과학관  (0) 2016.07.16